-
[ 목차 ]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자가 도시가스 요금을 납부한 후 일부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. 이는 가스 요금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, 에너지 효율적인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도 합니다.
그렇다면 이 제도는 어떻게 신청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요?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이란?
도시가스 캐시백은 사용자가 가스 요금을 일정 수준 이상 절감하거나 특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, 요금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.
절감 성공 시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 지급하는 방식이 대표적입니다.
- 가스 요금 차감: 다음 달 요금에서 자동으로 할인 적용
- 현금 환급: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일정 금액 입금
- 포인트 지급: 에너지 절약 관련 포인트 제도와 연계하여 활용
특히, 에너지 절약을 적극적으로 실천한 가구나 사업장의 경우 추가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캐시백 신청 대상 및 조건
도시가스 캐시백 혜택은 ‘주택난방용(개별난방/중앙난방)’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.
* 단, 취사용 및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캐시백 지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① 전출 • 전입, 명의변경 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②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(산업용, 업무난방용 등) 사용자
③ 신청자(회원가입자)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
④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⑤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
⑥ 기타 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거주 지역 및 도시가스 공급사별로 지원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,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기간
✔ 신청기간: 2024년 12월 1일 ~ 2025년 3월 31일 (4개월)
✔ 절감기간
2024. 12월 ~ 2025. 3월 (2025. 1월 ~ 2025. 4월 고지서 발행분)
✔ 비교기간
2023. 12월 ~ 2024. 3월 (2024.1월 ~ 2024. 4월 고지서 발행분)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
k-가스캐시백 사이트를 통해 가입하면 됩니다.
회원가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.
이처럼 자동으로 신청되는 경우는 일부 지역에만 해당할 수 있기에 일반적인 신청 방법도 같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이 있습니다.
✔ 온라인 신청
해당 지역 도시가스 공급사 홈페이지 방문 ->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 진행 -> 캐시백 신청서 작성 후 제출 -> 승인 여부 확인
🔽삼천리 도시가스 간편 요금 조회
https://www.samchully.co.kr/customer/gas/inquiry/check.do
삼천리
www.samchully.co.kr
✔ 오프라인 (방문) 신청
거주 지역 도시가스 고객센터 방문 -> 신분증과 최근 가스 요금 고지서 지참 -> 신청서 작성 후 제출
고객센터 : ☎ 02-6022-0905
캐시백 지급기준
캐시백 금액은 사용자의 도시가스 소비 패턴과 절약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전년 동기간 대비 3%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,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.
도시가스 절약 방법
아래 절약팁들을 참고해주시되, 가정별 난방환경 및 사용 보일러 타입 등에 따라 똑같이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가정의 난방환경에 맞게 참고하여 실천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💲 실내 적정 난방 온도(18~20℃) 설정하기
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20℃ 에서 1℃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15%이상 상승하게 됩니다.
보일러를 껐다가 재가동 시키는 경우에 가스 소비량이 큽니다.
실내 난방온도를 1℃만 낮게 설정해도 에너지 소비량을 7%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💲 적정 습도(40~60%) 유지하기
실내에서 적정 습도 40~60%를 유지하면 열 전달이 빨라져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.
💲 외출시 보일러 "외출모드"로 전환하기
외출시 보일러를 아예 끄는 것보다 외출모드로 전환하여 최소한의 온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💲 평상시 수도꼭지 "냉수"쪽으로 돌리기
수도꼭지가 "온수"쪽으로 있을 경우, 냉수 사용시에도 무심코 작동시켜 불필요하게 보일러를 가동시킬 수 있습니다.
💲 방한용품 활용하기
뽁뽁이라 불리는 에어캡이나 커튼, 카페트, 난방텐트 등 을 활용하면 실내 온도를 지속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난방으로 인한 도시가스를 절약 할 수 있습니다.
💲 실내 내복, 수면양말 등 보온용품 착용하기
보온 용품을 착용하면 체감온도는 3℃ 이상 올라갑니다.
💲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
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그고, 주 차단(메인) 밸브를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합니다.
난방을 하지 않는 방에는 문을 닫아 두어 열 손실을 방지합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에너지 절약을 장려하면서 가계 부담을 줄여주는 유용한 정책입니다. 신청 절차가 간단하고, 추가적인 혜택도 받을 수 있으므로 대상자라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